마음가짐편~v
관찰
애니메이터는 사람들의 액션과 리액션에 관해 세심한 관찰자여야 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거리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몸의 형태와 얼굴 표정을 기록하기 위해, 스케치 할 시간이 없을 때는, 노트북을 가지고 다녔다. A라는 사람은 긴 코를 가지고 있고, B라는 사람은 짧은 코, C라는 사람은 구부러진 코, 등등…일단 그의 스튜디오에 돌아오면, 그는 잊어버리거나, 변형되는 일없이 그 얼굴들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걷거나 움직이는 걸 볼 때, 그 사람의 걸음걸이를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보이게 하는 점이 무엇인지 분석하도록 노력하라. 그 걸음걸이를 모방해 보고, 그들처럼 걸어보라.
모든 문화는 그들만의 고유한 얼굴과 몸의 표정이 있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은 그들 각자에게 개성과 성격을 부여하는 그들만의 표정과 반응의 반복적인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를 찾아보고, 흉내내 보고, 기억한 다음 애니메이션 중 적절할 때 캐릭터에 적용하라. 마이클 크래인은 그의 전기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무엇인가 좋았다면(연기자 혹은 비연기자의 행동 중) 이를 훔쳐라.”
현장학습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연구하라. 동물원에 가거나 상가 혹은 어디든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으로 가서 동물과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보라. 어린이, 십대들, 어른, 그리고 노인들이 어떻게 움직이는가? 기억해 두거나 스케치하라.
필름 연구
VCR이나 DVD를 이용하여 연구하라: 슬로우 모션으로 재생 시킨 실사 영화나, 애니메이션 필름을 가지고 움직임을 연구하라. 앤티스페이션, 액션, 리액션이나 표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궁금하다면, 테잎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슬로우 모션으로 재생시켜라. 이 방법이 배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다.
잡지
내셔널 지오 그래픽, 지오, 라이프지 같은 잡지들은 사람들의 얼굴과 사람들의 상호 작용에 관련된 사진들이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들이다. 다양한 잡지들로부터 사진들을 모아서, 어린이, 어른, 남자, 여자, 노인, 동물 등 여러 다른 집단 별로 파일을 만들라. 지난 시절의 잡지들로부터는 특정한 어느 시기의 연구에 도움이 될, 패션, 스타일과 디자인에 대한 훌륭한 식견을 얻을 수 있다.
도서
책을 도서관에서 빌리거나, 자신의 사본을 가지고 있어라. 많은 스튜디오들은 그들만의 자료실을 가지고 있다. 데스몬드 모리스의 책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에 관한 것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필독서이고 머브리지의 책들은 모든 진지한 애니메이터들이 반드시 소장해야 할 책들이다.
-회화와 조각에 관한 미술책들은 애니메이터들에게 매우 귀중하다. 거장들의 그림을 보라. 어떤 포즈들을 취하고 있는지, 손의 표현과 바디 랭귀지에 대해 연구하라. 어떻게 비대칭적인 포즈를 취하고 있는지, 전체 이야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보기 위해 조각들을 보라. 실제의 그림과 조각들을 가까이 보기 위해 미술관을 방문하라.
-해부학 책들은 사람의 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기 위해 이용되고, 뼈와 근육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아주 중요하다.
-건축에 관한 책들과 여행에 관한 책들은 세트 디자인을 위한 훌륭한 참고가 된다.
애니메이션 도서
서점에는 매해마다 새로 출간되는 많은 애니메이션 책들이 있다. 이 책들은 이론과 실기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책들의 목록은 부록에 수록되어 있다. 보다 폭 넓은 선택을 위해서, 지역에 있는 서점과 인터넷을 찾아보도록 하라.
#“생활의 환상(The Illusion of Life)”, (프랭크 토마스 와 올리 존슨)Frank Thomas and Ollie Johnson
#“3차원 애니메이션의 창조(Creating 3-D Animation)”피터 로드와 브라인 시블리( Peter Lord and Brian Sibley)
#“애니메이터 웍북(The Animator’s Workbook)”, 토니 화이트(Tony White)
#“만화 애니메이션(Cartoon animation)”, 프레스튼 블레어(Preston Blair)
#“인간의 움직임(Human Locomotion)”, 에드워드 마이브리지(Eadweard Muybridge)
#“동물의 움직임(Animal Locomotion)”, 에드워드 마이브리지(Eadweard Muybridge)
#“스크린을 위한 시나리오에서 애니메이션 제작까지(Animation from Script to Screen)”, 세이버스 컬헤인(Seamus Culhane)
인터넷
인터넷은 가장 막강한 정보의 원천 중 하나이다.수많은 웹사이트에서 당신이 찾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http://www.google.com은 최고의 검색 엔진 중 하나이고 여러 나라의 언어가 사용 가능하다. 이 엔진은 사진만을 찾을 수 있게 해 주는 편리한 기능이 있다. 애니메이션 관련 웹사이트를 부록에서 참조하라.
애니메이션 필름 페스티벌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은 극장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매우 다양한 단편 영화들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이는 애니메이터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테크닉을 볼 수 있는 훌륭한 장이기도 하다. 페스티벌은 또한 애니메이터, 감독과 프로듀서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아시아에는 많은 애니메이션 필름 페스티벌이 있고, 한국에도 몇 개가 있다. 부록에서 전세계의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목록을 참조하라.
라이프-드로잉
라이프 드로잉 수업은 인체의 형태와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드로잉 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아주 훌륭한 방법이다. 예술 학교, 사립 학원과 대학에서 라이프 드로잉 수업을 개설하고 있다.
연기
연기 수업은 진지한 애니메이터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훌륭한 배우를 관찰하고, 그들의 액션과 리액션, 그들의 육체언어, 손의 제스춰, 걸음 그리고 표정을 연구하라. 그들이 아무것도 하고 있지 않을 때 무엇을 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여 관찰하라.
다양한 관심사
애니메이터들은 천성적으로 호기심이 많다. 그들은 사람이나 사물이 어떻게 또 왜 움직이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좋아한다. 내가 알고 있는 최고의 애니메이터들은 다양한 재능을 동시에 지닌 사람들이다. 그들 중 대부분은 악기 연주를 한다. 무엇보다도, 그들은 그들의 창조적인 생각에 불을 붙이고 영감을 주는 많은 다양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
'『STUDY』 > ㄴ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급할때 시간이 더딘 이유?…평소보다 ‘많은 기억’ 생성 탓 (0) | 2007.12.15 |
---|---|
꼬깃꼬깃.. (0) | 2007.12.09 |
일곱개의 P (0) | 2007.12.09 |
대희님의 애니메이팅 방식... (0) | 2007.12.09 |
세상은 레퍼런스덩어리.. (0) | 200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