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깃꼬깃..

 

상황설정연습

1. 한 상황을 설정해놓고
2. 그 상황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가지 행동들을 만들어 나가는 것
---- 일상에 대한 관찰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정말 매력적인 학습방법이 아닐 수 없겠죠? ^^

실제로 뉴욕의 애니메이션 대학에선 이런 교과과목이 있다는 군요.. 다양한 행동을 위해 조금씩 이런 노트 준비하는것도 좋지 않을까요? 

 

 

움직임과 파장

 
## 인간의 몸은 단, 0.0001초라도 가만히 정지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 안에 심장이 있고, 그 심장은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연결되어 있는 혈관에 규칙적인 맥박을 주고 있으며,
그 혈관덕택에 근육또한 반응하기 때문이다.

## 우리가 만드는 scene에 보면 케릭터의 큰움직임 중간에 정지해있는 포즈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얼굴의 움직임도 같다. 눈의 깜박임, 과 그와 관련된 근육, 입가의 움직임... 등..

## 따라서 좀더 실사와 같고, 자연스런 움직임을 나타내고자 한다면,
당신의 캐릭터에게 쉴시간을 주지 말라, 매우작은 움직이라도 쉴새 없이 주어야 한다, 로봇이 아닌이상....

## 적용방법
--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걱정이된다면, 큰 동작과, 작은동작으로 생각을 두번하라
적용예)
1. 큰동작 : 서 있는 동작에서 디디고 있는 발을 바꾼다
팔을 움직여 옷매무새를 추스린다 등.....
2. 작은동작 : 상체의 중심을 약간 좌우로 흔든다.
고개를 상하, 좌우로 아주 약간씩 움직인다.
숨쉴때처럼 가슴을 위아래로 반복이동시킨다

## 천천히 우리의 케릭터를 분주하게 해볼까요? 자연스럽게 말이죠 ^^
액션라인...

 1. 액션라인 이란.....
각각 연결된 객체 및 상호작용하게 되는 서로의 대상에게 적용되는 움직임의 시간순서

2. 예) 어깨가 움직이면 팔꿈치까지가 기본 액션라인이 형성되는 부분이고 상황에 따라.. 그 하위 손목이하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 상자가 펴질때 상자의 뚜껑부분이 열리고, 나머지 측면, 뒷편이 열려야 상자는 전개도처럼 넓게 펴질수 있다

3. 이러한 액션라인은 얼굴의 묘사 뿐만아니라 모든 액션형태에서 적용되어야 한다.

4. 정리......... 액션의 순서(연관된 대상들의)이다... 마치 컵에 든 잔을 들어야 그 다음 입에 갇다댈수 있고.. 입이 벌려져야 커피가 입에 들어갈 수 있는것처럼....

--- 한 관절로 연결되어 있는 한 케릭터의 움직임은 상위 조인트의 영향에 따라 순서적으로 움직여야 된다는 거겠죠 ? ^^;; 기본이지만, 충실해야할꺼같애요.

 

 

 


#섬네일의 중요성


# 썸네일이란...
크로키의 빠른느낌으로 머릿속에 떠오른 영상들을 그려나가는 것
(주의 : 가급적 머리속에서 원하는 포즈를 완벽히 생각한후 한번에 그려나가기)

# 썸네일을 그릴때 중요한것
- 선의 깔끔함에 연연하지 말것
- 비슷한 동작을 여러번 그릴것
- 그림의 포인트를 포즈(표정)에 둘것

#썸네일의 기대효과
- 각 scene에서 요구하는 스토리 진행범위안에서 최고의 액션을 찾아내는데 기여.

#여러 그림중... 최고의 것을 캐칭... 2d,3d 모두 키프레임으로 묘사
 
 

 

 


 
#타이밍 계산하기..

 

물론,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제 생각을 몇자 적어봅니다.. ^^

--------------------------------------------------------------------

1. 영상자료가 있을경우
## stop-watch 이용
- 실제 영상을 통해 실제의 시간을 체크하는데 사용하며, 대략적인
액션 스케치와 곁들여 data화 해서 정리해놓는것도 좋다.
(1초 : film=24frame / ntsc=30frame)

2. 영상자료가 없을경우
## 영상이 내는 소리를 인식(떠올림)--->stop-watch로 시간계산
-단점 : 100% 실제와 정확한 data값을 낼 수 없다
-장점 : 우리가 인식하는 감성에 좀더 가깝다
영상과 사운드를 함께 구상할 수 있다.
아무런 데이타가 없다해도.. 머릿속으로 사운드를 떠올리
며 작업할 수 있다.
 
 
 
#걷는 속도.. 

 
거리에서 봄,가을 날씨, 도시지역기준으로 걷는속도 입니다. ㅋㅋ.. 거리에서 스탑워치로 시간재는건 생각보다 너무 재밌어요. 뜻밖에 여러가지 포즈도 알게되구, 열분두 시간나실때 마다 해보세요 ^^
------------------------------------------------------------------------------------------

#20~30대 직장남성 : 1cycle / 0.9~1.2초
여성 : / 0.8~1초
- 보폭을 감안해도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걷는다

#30~40대 남성 : 1cycle/ 1.4~1.6초
여성 : / 1.4~1.6초

서양에 비해 상당한 기간동안 그들을 쫓아야 했던 탓일가...
서양의 평균치는 남성 : 1.4~1.6초,, 여성1.6~1.8초 이다

우리에게 그들은 항상 여유롭게 보일 수 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