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매이션 사운드 용어 해설




싱크(Sync/Synchronize)
동기화, 영상과 각 사운드 요소의 동기

심티(SMPTE)
영화와 텔리비전 앤지니어 조합(Society of Motion Picture & Television Engineers)의 약자.
싱크신호의 표준으로 자리잡은 타임코드. 현재 영상편집이나 사운드 후반작업시 대부분 이 신호를 사용함. 타임코드는 시:분:초:프레임으로 표시되고 타임코드의 종류는 non-drop30fps, drop30fps, 25fps, 24fps 등이 있음.

스트리핑(Striping)
동기신호, 즉 심티신호를 영상테잎의 오디오트랙에 기록하는 작업

큐시트(Cue Sheet)
작업의 순서, 내용 등을 적어놓은 표, 큐시트에는 씬넘버와 컷넘버, 상황, 음악의 길이와 음향, 타임코드 등을 기재함. 영상의 진행과 음악의 진행도 함께 체크할 수 있음, 상황이나 사운드 처리도 기재하도록 한다. 큐시트는 작업도면과 같은 것.

폴리(Foley)
음향효과의 녹음을 위해 녹음스튜디오 안에서 행하는 음향연기를 말한다. 즉, 사람이 소리를 만들어낸다. 폴리연기를 담당하는 사람을 Foley Artist라 함. 폴리라는 말은 사람(Jack Foley)이름에서 비롯된 것.

녹취
생생한 소리의 재현을 위해 소리나는 현장에서 직접 녹음

음향 라이브러리
시디 등의 매체에 각종 음향들을 모아둔 음향모음집. 영상작업시 대부분의 음향은 이것으로 사용하며 여러가지 제품이 있음

M&E(Music & Effect)
대사와 음향을 분리해서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대사를 따로 분리하는 이유는 다른 언어로 더빙을 할 때 음악/음향과 함께 있으면 곤란하기 때문에 대사를 삽입하는 채널만 따로 구분해서 작업을 하는 것이다.

앰비언스(Ambience)
특정한 공간의 배경음향, 배경이나 공간을 설명함

스팟팅(Spotting)
편집이 완료된 영상을 보면서 음악이 필요한 위치를 정하는 작업

믹싱(Mixing)
싱크작업이 끝난 후 모든 사운드요소를 적당한 크기와 음향적 특성으로 조합하는 작업. 후반작업시 가장 중요한 작업

사운드 디자인(Sound Design)
음향 효과를 위해 소리를 만드는 작업. 녹취, 폴리, 라이브러리 등으로 취합된 소리들을 영상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

사운드 슈퍼바이저(Sound Superviser)
전체 후반작업을 총괄하여 진행하는 역할

대사편집(Dialog Editing)
녹음된 대사를 싱크작업과 믹싱작업이 가능하도록 편집, 조정하는 작업

마스터링(Mastering)
최종믹싱 완료후 필요한 형식(stereo, 4ch, 6ch, M&E) 등으로 작업

DAT(Digital Audio Tape)
현재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오디오테잎

BG(Background Music/Effect)
배경음악, 혹은 배경음향의 통칭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디지털 오디오의 샘플링율, 대부분 시디음질인 16bit 44kHz로 사용

프레임(Frame)
영상의 한 장면, 즉 하나의 정지화면

콘트롤 트랙(Control Track)
타임코드를 기록하는 트랙, 트랙이 부족할 경우 이 위에 음악을 깔기도 함.

리레코딩(Re-Recording)
음악, 음향, 대사 등 모든 사운드 요소를 믹싱하는 작업

이퀄라이징(Equalizing)
고음, 중음, 저음 등 사운드의 각 영역대별로 강조, 감쇄하는 작업

리버브(Reverb)
이펙트의 한 종류로 여러 종류의 울림을 통해 공간감을 강조함

'『STUDY』 > ㄴ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mo Reel 만드는 전략  (0) 2007.02.28
색상표  (0) 2007.02.26
7인의 조언  (1) 2007.02.26
애니메이션 관련 용어 총정리  (0) 2007.02.26
애니메이터가 지켜야 할 20가지  (0) 200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