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o분에 1종씩... 멸종속도 1000배나 빨라져... 서울신문 2010년 5월 12일 수요일



“인간만 남는 지구”

유엔 ‘환경파괴’ 경고





“지속적인 삼림 파괴는 이상 기후와 강수량의 급격한 변화를 만들어냈다. 인간을 제외한 동식물은 지구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 강과 호수의 오염은 결국 주민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제 자연환경을 되돌리는 건 불가능한 단계에 접어들었다.”

▲ 미국 유타주에 있는 빙엄 협곡 구리광산. 폭 4.5㎞, 깊이 1㎞나 되는 세계 최대 노천광산이다. 광산 채굴은 그 지역 거주민뿐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남아프리카 보츠와나 오카방고 삼각주에서 기린들이 물을 마시고 있다. 오카방고 삼각주는 경제적가치가 보츠와나 국내총생산(GDP)의 2.6%에 달하는 1억 4500만달러로 추산된다(오른쪽 작은사진). 아름드리 나무가 사막화로 말라죽어가고 있다(왼쪽 사진).
유엔이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이 인간을 멸망으로 이끄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내놓았다.

지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생태시스템(eco-system)이 이미 제기능을 상실하는 임계점에 도달했다는 분석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열대지역 생물은 59% 사라져

유엔환경계획(UNEP)과 생물다양성협약(CBD) 사무국은 10일(현지시간) 케냐 나이로비에서 ‘제3차 세계 생물다양성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06년까지 36년 동안 지구상에 서식하는 생물종의 31%가 사라졌다. 특히 열대지역에서는 59%, 청정해역에서는 41%의 생물종이 자취를 감췄다.

동물 중에서는 양서류와 새들이 가장 크게 줄어들었다. 1960년대 이후 양서류의 42%, 조류의 40%가 사라졌다.

●인구억제 등 획기적 전략 필요

생물종의 손실은 더 이상 자연에만 머무르지 않고 가축과 농작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럽의 농장에서 키우는 조류의 숫자는 1980년의 절반으로 줄었다. 또 토양의 질이 저하되면서 곡물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아킴 스타이너 UNEP 사무총장은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있다는 환상을 갖고 있지만,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물다양성 보존에 재정위기 못지 않은 돈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현재 각국이 시행하고 있는 자연보호구역 지정 확대, 오염물질 배출 규제 등의 수단만으로는 더 이상 동식물의 멸종을 막을 수 없다며 토지사용 및 어업 규제, 인구증가 억제 등 획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생물 보존목표 달성 국가 ‘0’

유엔 CBD사무국은 “2010년까지 생물다양성 손실률을 현저히 줄이겠다고 지난 2002년 합의한 193개 회원국 가운데 목표치를 달성한 나라가 한 곳도 없다.”고 밝혔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는 생물종을 보호하려는 우리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좀 더 강력한 조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세계 생물다양성 전망 보고서’는 2001년 11월과 2006년 3월 두 차례 발표됐으며 올해 ‘유엔이 정한 세계 생물다양성의 해’를 맞아 3차 보고서가 작성됐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STUDY』 > ㄴ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선택의 십계명  (0) 2010.11.19
-이동진닷컴 [시네토크] '대부'라는 전설 중-  (0) 2010.07.07
너기형님의 말씀#2  (0) 2010.04.30
티스토리 단축키  (0) 2010.04.24
생각의 탄생  (0) 2010.03.17
,